본문 바로가기
  • 사람은 무언가를 배울 필요가 있을때가 되서야 비로소 배우게 된다.
728x90
반응형

전체 글101

개발일지: "Bomb Block Game" 만들기 저는 어릴 때부터 블록(격자)류 게임을 참 좋아했습니다.2048, 블록 퍼즐, 라인게임 같은 걸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즐기곤 했죠.그러다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나도 한번 만들어볼까?"복잡하고 거창한 건 싫었습니다.접근하기 쉽고, 만들기도 쉽고, 결과물이 바로 보이는 그런 프로젝트를 원했어요.그래서 자연스럽게 웹 기반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 아이디어는 이렇게 탄생했습니다영감은 다름 아닌 추억의 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 범버맨에서 얻었습니다.“폭탄을 설치하고, 펑펑 터뜨려서 벽을 부수는 재미!”그 감성을 최대한 살리면서,블록을 터뜨리고, 벽을 부수고, 점수를 쌓는 심플한 게임을 기획했습니다.이름하여, Bomb Block Game!🛠️ 개발 기본 스펙HTML/CSS/JavaScript.. 2025. 4. 29.
후쿠오카 여행 계획 https://www.notion.so/00770350674f41ed9e80276ecc1171e4 후쿠오카 여행 | Notion후쿠오카 3박 4일여행 ( 24.09.13(금) ~ 09.16(월))saber-plow-930.notion.site 2024. 9. 11.
개발자 이력서 템플릿 공유 이전 취업 후기 글에서 언급한 직접 제작한 개발자 이력서 템플릿 공유합니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d/1kdGoBbYEtMswaf7DuVK56SQ_6YoDbPdHOb7iBPhYsPo/edit?usp=sharing YoHaYo 개발자 이력서 템플릿 공유용 docs.google.com 우선 떨어지는 이력서의 특징 중 하나가 '이 이력서로 50개는 지원했을 거같다'라는 인상을 준다 라고 해서 각 회사마다 맞춤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섹션을 만들었습니다. 지원하는 회사 이름을 명확히하고 그에 맞는 나의 강점 소개를 쓸 수 있는 섹션을 마련했습니다.그리고 지원하는 회사에서 요구하는 기술스택을 진하게 표기하여 그 회사에 맞춤으로 이력서를 만들었다는 느낌을 주도록했습니다.   원래.. 2024. 4. 29.
비전공자 프론트엔드 취업후기 경험공유 퇴사 후 개발자 취업까지 이야기들입니다. 마지막에 요약 있어요..! 개발자로 전향 과정 작년 7월 설계회사에서 개발자로 전향하기로 마음먹고 과감하게 퇴사했다. 더 이상 이분야로 일하지 않을거라는 결심때문에 미련없이 퇴사하고 그 시간을 개발자 취업준비에 힘써 조금이라도 빠르게 취업하고자했다.퇴사 후 1달정도 해외여행으로 시간을 쓴걸 빼면 약 9개월 정도 소모됬다. 반년이내로 승부보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더 걸렸다. 극심하게 얼어버린 개발자 채용시장 여파가 컸다.  스터디 과정처음에는 인터넷강의로 집에서 혼자 학습했다. 물론 기술지식을 습득하는데는 이런방식도 무리없었지만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날수록 점점 생활패턴이 늘어지고 학습효율이 떨어졌다. 결국 가까운 국비교육 학원을 신청했다. 개발지식을 배운다.. 2024. 4. 29.
1장_Link Hub개발일지 : 구상 (2일 / 14일) 핵심이 되는 사항을 피그마를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로 했다. 간단한 와이어프레임 형식으로 정말 심플하게 핵심페이지만 구현하고 설명을 덧붙였다. 먼저 저 페이지의 형식은 내가 Simplest로 명명한 아이콘만 보이는 뷰타입이다. Grid, List 뷰타입으로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 아이콘을 눌러서 url을 추가할 수 있다. 주제에 맞는 url을 폴더별로 묶어서 볼 수도 있다. Sort Option으로는 가장 많이 클릭한 / 가장 최신에 추가한 url 순으로 보여줄 수 있다. 모든 url 박스들은 드롭앤드래그로 편집가능하다. 사실 이 와이어프레임만으로는 많이 표현이 부족하다. 그러나 먼저 나의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용으로만 심플하게 작성해봤다. 처음부터 세부디자인까지 고려하면 시간적으로나 효율적으로나 .. 2024. 4. 17.
0장_Link Hub개발일지 : 준비 (1일 / 14일) 예전부터 기획만 해왔던 Link Hub을 이제 프로젝트로 구현하기로 마음먹었다. 기간은 기획정리 2일 + 자료수집 3일 + 코드구현 7일 + 여유시간 2일 = 14일로 잡았다. (오늘이 4/16이니 4월안에 만들어야된다..!) 물론 내가 이 모든 기술을 구현할 실력이 안되기 때문에 이 기간내에 완성품을 만들기는 힘들것이다. 그러나 목표기간을 잡고 안잡고의 차이는 효율성면에서도 극명할것이다. 그래서 목표기간을 잡고 100%가 아니더라도 최대한 프로젝트를 구현하고 일정을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우선 간단하게 어떤 사이트를 만들고 싶은건지 소개하겠다. 프로젝트 소개 소스코드를 저장, 공유하는데 가장 탁월한 서비스가 github라면 linkhub는 웹상에 가장 공유가 많이되는 데이터인 url(링크)을 저.. 2024. 4. 16.
728x90
반응형